카이스트 명강PLUS 시리즈
KAIST 교수진의 전문성이 돋보이는 교재와 학술서 시리즈
양자 정보학 강의
- ISBN
- 9788983718877
- 출판일
- 2017년 12월
- 출판사
- 사이언스북스
- 페이지수
- 464페이지
- 도서정가
- 25,000원
저자소개
- 이해웅(KAIST 물리학과)
서울 대학교 물리학과에서 학부를 마치고 미국 피츠버그 대학교에서 양자 광학을 주제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미국 로체스터 대학교, 애리조나 대학교, 뉴멕시코 대학교에서 박사 후 연구원을 지냈으며 오클랜드 대학교 물리학과 부교수와 카이스트 물리학과 교수, 물리학과장, 교무처장을 거쳐 현재 카이스트 명예 교수 및 유니스트(UNIST) 석좌 교수로 재직 중이다. 1996년부터 1998년까지 한국 물리학회 원자 및 분자 물리학 분과 위원장직을 지내기도 했다. 양자 얽힘과 양자 정보를 주제로 양자 정보학, 양자 광학, 원자 물리학 분야에서 10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국내에서 양자 정보학 연구를 최초로 시작했으며 여러 편의 우수한 논문을 발표하면서 한국 양자 정보학의 국제적 인지도 상승에 기여했다. 양자 정보학 연구를 주도하고 그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2006년에는 3·1 문화상 학술상(자연 과학 부문)을, 2008년에는 카이스트 우수 강의상을 받았다. 저서로는 『빛의 양자 이론』, 『구글 신은 모든 것을 알고 있다』(공저)가 있고 번역서로 『양자 우연성』(공저)이 있다.
책소개
양자 정보 시대를 위해 대한민국 제일의 권위자가 마련한 최초이자 최고의 강의
바야흐로 ‘양자 정보 혁명’의 시대가 오려 하고 있다. 정보 혁명 시대를 열었던 IBM, 마이크로소프트 등 초거대 IT 기업들이 양자 정보학, 양자 컴퓨팅 연구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기 때문이다. 양자 정보학, 양자 컴퓨터는 이제 더 이상 과학자들의 공상 속에만 존재하는 꿈의 기술이 아니다. 특히 IBM이 개발한 양자 컴퓨터 ‘Q 시스템’은 삼성전자, JP 모건 체이스, 다임러 등 세계적인 기업들이 적극 도입을 결정하면서 상용화 준비를 끝마쳤다. 중국 정부도 올 9월 양자 컴퓨터, 양자 암호 등 양자 정보학을 연구하는 국립 양자 정보 과학 연구소를 건설하기 위해 760억 위안(약 13조 원)의 자금을 투입하겠다는 결정을 내려 전 세계 연구자들의 이목을 모았다. 중국 정부의 목표대로 2020년 기존 컴퓨터보다 100만 배 빠른 양자 컴퓨터가 개발된다면 그 경제적, 정치적, 그리고 군사적 파장은 엄청날 것이다.
반도체, 금융, 자동차 등 21세기 핵심 산업들에 부는 양자 정보 혁명의 바람 앞에 모든 것이 변할 것이다. 양자 컴퓨터가 개발된다면 현재의 암호 시스템에 기반한 가상 화폐 시스템은 송두리째 붕괴할 것이다. 양자 컴퓨터의 공격으로부터 살아남을 수 있는 ‘양자 저항’이 필요한 것이다. 또 마이크로소프트 등이 개발 중인 양자 컴퓨터 언어는 현존하는 모든 컴퓨터 언어를 대체할 것이다. 올해 발표된 MIT ‘10대 혁신 기술’, 세계 경제 포럼 ‘10대 이머징 테크놀로지스(Emerging Technologies)’, 그리고 KT 경제 경영 연구소 ‘한국을 이끄는 10가지 ICT 트렌드’ 등에 빠짐없이 양자 정보 기술이 포함된 것은 이런 시대 상황을 잘 반영하고 있다.
목차
머리말
제1장 양자 정보학을 위한 양자 물리학
제2장 양자 정보학을 위한 양자 광학
제3장 양자 얽힘
제4장 양자 전산
제5장 양자 암호
제6장 양자 텔레포테이션
제7장 양자 정보학의 미래
사이버 물리 공간의 시대
- ISBN
- 9791192908175
- 출판일
- 2023년 6월
- 출판사
- 사이언스북스
- 페이지수
- 224페이지
- 도서정가
- 25,000원
저자소개
- 최준균(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현재 KAIST-메가존클라우드 지능형 클라우드 융합기술 연구센터 소장이다. 1986~1997까지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의 실장 및 책임 연구원으로 근무하였으며 1990~1991년까지 캐나다 토론토 대학교 교환 연구원을 지냈다. 국제표준화 관련 ITU-T의 Rapporteur 및 IPTV Focus Group의 WG1 의장을 역임하였으며, 국내 대표단 의장으로써 활동하는 동안 NGN(BcN) 및 IPTV 관련 국제 표준화를 주도하였다. 최근 CPS 환경에서 AI를 접목함으로써 효율화를 꾀하는 것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진행 중에 있다.
- 박효주(KAIST-메가존클라우드 지능형 클라우드 융합기술 연구센터)
KAIST-메가존클라우드 지능형 클라우드 융합기술 연구센터 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부산대학교 신문방송학과에서 뉴미디어로 석사 학위를, KAIST 기술경영학과에서 기술 혁신으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 미래 미디어 생태계 변화, 미래 기술, 지식 미디어, 기술 혁신의 탈추격 등과 관련한 프로젝트에 다수 참여했으며, 미디어 환경 및 기술 혁신에 따른 새로운 사회적 현상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 고혜수(KAIST-메가존클라우드 지능형 클라우드 융합기술 연구센터)
KAIST 기술경영학과에서 석박사 과정을 밟으며 혁신 기업의 경영자 의도와 성과에 대해 연구했다. 중소기업 기술 지원, 기관 성과 평가와 관련한 프로젝트에 다수 참여했으며, 기술 환경 변화에 따른 기업 운영의 변화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 최형우(KAIST-메가존클라우드 지능형 클라우드 융합기술 연구센터)
KAIST에서 공학 박사 학위를 받고, 현재 KAIST 정보전자 연구소 소속의 박사 후 연구원으로 일하고 있다. 인공 지능 기술, 특히 멀티에이전트 강화 학습을 활용해 사물 인터넷(IoT), 모바일 엣지 컴퓨팅(MEC), 스몰셀 네트워크의 자원을 최적화하는 데 관심을 가지고 있다.
책소개
양자 정보 시대를 위해 대한민국 제일의 권위자가 마련한 최초이자 최고의 강의
바야흐로 ‘양자 정보 혁명’의 시대가 오려 하고 있다. 정보 혁명 시대를 열었던 IBM, 마이크로소프트 등 초거대 IT 기업들이 양자 정보학, 양자 컴퓨팅 연구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기 때문이다. 양자 정보학, 양자 컴퓨터는 이제 더 이상 과학자들의 공상 속에만 존재하는 꿈의 기술이 아니다. 특히 IBM이 개발한 양자 컴퓨터 ‘Q 시스템’은 삼성전자, JP 모건 체이스, 다임러 등 세계적인 기업들이 적극 도입을 결정하면서 상용화 준비를 끝마쳤다. 중국 정부도 올 9월 양자 컴퓨터, 양자 암호 등 양자 정보학을 연구하는 국립 양자 정보 과학 연구소를 건설하기 위해 760억 위안(약 13조 원)의 자금을 투입하겠다는 결정을 내려 전 세계 연구자들의 이목을 모았다. 중국 정부의 목표대로 2020년 기존 컴퓨터보다 100만 배 빠른 양자 컴퓨터가 개발된다면 그 경제적, 정치적, 그리고 군사적 파장은 엄청날 것이다.
반도체, 금융, 자동차 등 21세기 핵심 산업들에 부는 양자 정보 혁명의 바람 앞에 모든 것이 변할 것이다. 양자 컴퓨터가 개발된다면 현재의 암호 시스템에 기반한 가상 화폐 시스템은 송두리째 붕괴할 것이다. 양자 컴퓨터의 공격으로부터 살아남을 수 있는 ‘양자 저항’이 필요한 것이다. 또 마이크로소프트 등이 개발 중인 양자 컴퓨터 언어는 현존하는 모든 컴퓨터 언어를 대체할 것이다. 올해 발표된 MIT ‘10대 혁신 기술’, 세계 경제 포럼 ‘10대 이머징 테크놀로지스(Emerging Technologies)’, 그리고 KT 경제 경영 연구소 ‘한국을 이끄는 10가지 ICT 트렌드’ 등에 빠짐없이 양자 정보 기술이 포함된 것은 이런 시대 상황을 잘 반영하고 있다.
목차
머리말
제1장 양자 정보학을 위한 양자 물리학
제2장 양자 정보학을 위한 양자 광학
제3장 양자 얽힘
제4장 양자 전산
제5장 양자 암호
제6장 양자 텔레포테이션
제7장 양자 정보학의 미래